암환자로써 식단에 신경을 쓰고 있어 '유기농' 또는 '무농약' 등 친환경 표시가 된 식재료를 선호합니다. 그런데 일반 마트 또는 한살림에서 장을 보면 친환경/유기농/무농약이라고 쓰여있는 물품들이 많이 보입니다. 그렇다면 이 세 가지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건강에 좋다'정도로만 알고 있는 친환경, 유기농, 무농약의 실질적인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친환경 제품과 유기농, 무농약의 비교를 통해 건강한 식품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해 봅시다.
[바로이동 목차]
1. 친환경 농축산물
친환경 농축산물은 농약, 화학비료, 항생제 등의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로 사용한 환경에서 생산한 농산물과 축산물입니다. 생물의 다양성을 증진시키며 건강한 농업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방식으로 농축산물을 생산한다고 합니다.
친환경 농축산물은 농산물 2종류, 축산물 1종류로 나누어집니다. 농산물 부분에서는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로 이루어지며, 축산물에는 유기축산물이 포함됩니다. 아래는 해당 기준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따라서 여기서 알 수 있는 점은 친환경, 유기농, 무농약이 나눠지는 것이 아니라 친환경 농축산물이 가장 큰 범주이며, 그 안에서 유기농과 무농약으로 나누어진다는 것 입니다. 또한, 농축산물이 아닌 가공품에서도 유기가공식품과 무농약원료가공식품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친환경 농축산물 기준에 따라 국가에서 인증을 받게 되면 인증 표시가 붙게 된다고 합니다. 인증 표시는 아래에서 유기농/무농약의 차이점을 다루며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2. 유기농
유기농산물은 화학비료 또는 합성농약을 3년 이상 사용하지 않는 땅에서 재배한 농산물을 말하며, 유기축산물은 유기사료를 급여하며 국가의 인증 기준에 맞추어 생산한 축산물을 말합니다. 해당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인증 마크를 제품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유기농산물, 유기축산물, 유기재배 농산물 또는 유기농 마크이며, 일반적으로 유기재배 사과, 유기재배 고구마 유기 감자 등 '유기재배' 또는 '유기' 뒤에 '농산물 명칭'을 붙이게 됩니다.
그 외에 유기농 인증을 받은 농산물 및 축산물을 95% 이상 사용하여 가공한 식품으로 모든 제조 과정을 포함하여 국가의 인증을 받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유기가공식품 표시를 받을 수 있습니다.
3. 무농약
무농약 농산물은 합성농약은 전혀 사용하지 않지만, 화학비료는 권장 사용량의 1/3 이내의 양만 사용하여 재배한 농산물을 말합니다. 해당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인증 마크를 제품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무농약, 무농약 농산물, 무농약 재배 농산물 마크이며, 일반적으로 무농약 콩나물, 무농약 재배 토마토 등 '무농약' 또는 '무농약 재배' 뒤에 '농산물 명칭'을 붙여 사용합니다.
그 외에 원료 또는 재료가 모두 무농약, 유기식품, 무농약원료가공식품이며 무농약 인증을 받은 농산물의 함량이 50퍼센트 이상인 가공식품으로 화학적 합성을 거친 식품평가물 또는 가공보조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등의 기준에 맞추어 국가의 인증을 받은 후 다음과 같은 무농약원료가공식품 표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친환경 농축산물의 의미와, 친환경 농축산물에 포함되는 유기농과 무농약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는데요, 농약과 화학비료가 쓰이지 않는 유기농 농축산물이 건강에는 좀 더 좋을 것 같다고 생각되어 식단을 하는 암환자로써 앞으로 유기농 제품들을 더 많이 사게 될 것 같습니다.
'건강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환자 녹차의 EGCG 성분 효능 및 항암 효과 (1) | 2024.11.20 |
---|---|
암환자 베타글루칸 효능 및 항암 효과 (0) | 2023.11.11 |
계란 난각번호 읽는 법과 번호별 의미 (1) | 2023.09.25 |
암환자 미역귀 후코이단 효능 및 항암 효과 (1) | 2023.09.21 |